유용한자료2014. 12. 17. 19:26
반응형

쌀이 생산되는 모습 쌀가공

 

사전의 뜻 : 벼에서 껍질을 벗겨 낸 알맹이

 

한국인이 주식인 쌀은 없어서는

 

안될 먹거리로 점점 소비량이 줄고

 

있다. 쌀로 술과 빵, 국수등으로 이용해 보자.

 

벼는 벼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20여 종의 품종이

 

있으나. 세계적으로 가장 흔하게 재배되고 있는

 

것은 오리자 사티바(oriza sativa) 이다. 최근

 

미얀마에서는 기원전 1만년의 유적에서 재배되었

 

다는 형적이 나타났다고 하며, 일본에는 기원전 1세기경에 중국의 중남부에서 전해왔다고 한다.

 

우리 나라에 들어온 쌀도 역시 일본형이므로 그 무렵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벼 열매의 상태 입니다. 벼가 다 자라면 열매를 생산한 상태 입니다.

현미에서 쌀겨층과 배를 제거하고 백미를 만드는 도정과정을

정미라 한다.

 

 

 

쌀은 도정 정도에 따라 정배미 7분도미, 5분도미 등으로

구분한다. 정백미는 현미에서 겨층과 씨눈을 완전히 제거하여 현미 중량의

93% 이라로 도정한 것이며 쌀알 중에서 씨눈을 70% 정도 남기고 현미 중량의

95%정도가 되도록 한 것을 7분미라고 한다.

 

 

 

 

쌀의 전설은 동남아시아가 쌀의 원산지로 추정되고 있는데, 이 지역에는 쌀과 관련된

신화와 전설이 많이 남아 있다. 쌀의 기원에 대한 신화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시체화생형으로서 죽은 여자의 시체에서 조,사고야자 코코야자 등이

재배식물과 함께 쌀이 생겼다는 신화이고 다른 하나는 수락신형의 기원 신화로서

새가 하늘이아 다른 성지에서 벼이삭을 몰고 와 땅 위에 떨어뜨려 생겨났다는 설이다.

 

 

 

 

세계에서 생산되는 쌀은 크게 일본형과 인도형으로 나눈다.

인도형은 일본형에 비하여 쌀알일 길고 밥을 지었을때 끈기가 없으므로

한국인이나 일본인의 기호에는 맞지 않는다.

 

 

 

 

쌀의 포장용기로는 옛날에는 볏짚으로 만드는 섬, 가마니를 비롯하여 마대를 사용하였으나,

근래는 지대라프트지 또는 폴리에틸렌주머니를 사용한다.

 


 

 

옛날에는 모두 섬을 사용하였으나 제2차 세계대전을 전후하여 가마니가

도입되어 섬에서 가마니로 점차 바뀌었고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마대와 지대가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정부에서 쌀을 수매하거나 소비자에게 판매하기 위해서 정부 검사기관에서는

농산물검사법에 의한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국내산 쌀에 대해서는 포장,중량,품질에 대한 검사를 실시한다.

원료미로서는 도정률이 높고 저장성과 밥맛이 좋은 것이 바람직하다만.

검사규격에서 도정률의 지표가 되는 것은 용적중 , 쌀알의 균일도, 피해

입자등으고 저장성은 수분으로 표기 된다.

 

 

 

 

쌀이 생산되는 기계입니다.

도시에 사시는 분들은 잘 모르실것 같아서 몇장 올려 봅니다.

 

 

쌀이 생산되는 동영상입니다.

 

 

 

 

세상은 넓고 할일은 많다.

반응형
Posted by 정감이